가장 위험한 투자는 ‘리스크를 전혀 감수하지 않으려는 투자이다’와 내집마련 프로젝트
- 투자법별 비용
구분
|
적금, 채권
|
주식형 펀드
|
부동산
|
취득시 비용
|
없음
|
1~1.8%
|
1.1%
|
보유시 비용
|
-
|
0.5~0.6%
|
0.125~0.25%
|
매도시 비용
|
15.4%
|
2%이내
|
6-38%
|
기대 수익
|
3-4%
|
-50~50%
|
0~100%
|
세후 수익
|
2.7~3.7%
|
-50~50%
|
0~100%
|
- 가장 위험한 투자는 ‘리스크를 전혀 감수하지 않으려는 투자이다’
- 투자 할때는 통제 가능한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물건에 해야한다
(risk와 danger 차이점 알기)
- 장기간 보유시 체력(리스크 관리) 필요
- 투자 전 리스크 자문자답
1) 이 투자로 어떤 손해가 일어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가 ?
2) 이 리스크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가?
3) 이 물건에 투자하면 원금을 보존할 수 있는가?
4) 이 물건의 수익률(대출 제외)이 내가 목표로 하는 수익률(최소 10% 이상)에 부합하는가?
5) 이 물건은 매도할 때 다름사람이 바로 받을 만큼 매력적인가?
- 년간 부동산 매수 시기
장마철, 여름철 가장 무더운 시기, 크리스마스~음력 설전까지
- 수익형 부동산 원칙
1) 낙찰가 = 대출금액 + 보증금으로 내돈이 거의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2) 월세로 들어오는 돈이 대출이자를 훨씬 상회해야 한다
3) 지속적으로 보유 물건을 늘려야 한다
- 노후 자금 계산기
노후 필요자금 = (평균 예상 수명 – 은퇴나이) x 원하는 은퇴 생활비 x 12개월
- 전업투자 전 최소한의 자본소득 기준
최소 생활비(월 300만원) + 향후 투자금(월 300만원)
- 부동산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을 떠나지 않는 것’이므로
투자스터디 등을 통해 파트너와 매주 1회 임장하기를 지속하기
- 직장인으로 투자자로 성공하고 싶으면 ‘돈으로 다른 사람의 시간을 사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 똘똘한 아파트 선별방법
1) 실투자금이 적게 드는 아파트를 골라라
2) 전세수요가 높은 지역의 아파트를 골라라
3) 주변 향후 공급(분양 물량)이 없는지 확인하라
4) 대단지 아파트 일수록 좋다(최소 500세대)
5) 역세권 아파트 일수록 좋다
6) 소형 평형 아파트 일수록 좋다
- 10년안에 주택 30채 마련 프로젝트 사례 Case